안녕하세요, 무더운 더위와 함께 2023년의 8월이 시작되었습니다. 오늘은 많은 청년들이 궁금해할 청년도약계좌 8월 가입 시기 에 관한 정보를 알려드릴까 합니다. 자세한 내용을 함께 살펴보실까요?

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들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‘청년도약계좌’. 이것이 대체 무엇인지, 왜 주목해야 하는지, 청년도약계좌 8월 가입 시기는 언제인지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장기적으로 돈을 모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부의 특별한 계좌입니다. 이 계좌에는 최대 5년 동안 매월 70만원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이렇게 넣은 금액에 대해 정부에서 6%까지 추가로 돈을 더 넣어줍니다. 추가로, 이 계좌에서 얻는 이자에 대한 세금도 안 내도 돼요. 즉, 이 계좌는 돈을 더 빠르게 모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에요!
[관련 링크 바로가기]
청년 도약 계좌 5년간 5,000만 원 적금으로 목돈 만들기 | 최신 업데이트
재테크 기초 공부는? 청년들을 위한 서울 영테크 알아보기
청년도약계좌 8월 가입 시기 및 조건
1. 가입 조건과 기간
- 대상: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대상은 신규 가입일을 기준으로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입니다.
- 청년도약계좌 8월 가입 시기 : 2023년 8월 1일부터 8월 11일까지 가입 신청을 받고 있으며, 이 기간이 지나면, 다음달 가입이 가능한 등 매월 가입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.
- 소득 제한: 2022년도의 개인소득(총 급여가 7,500만원 이하) 및 가구소득(가구원 전체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% 이하)을 기준으로 가입 여부를 확인합니다.
- 주의사항: 복수의 은행에서 신청은 가능하지만, 실제 계좌 개설은 한 은행에서만 해야 합니다.
2. 납입 및 정부 지원
- 납입 방법: 계좌를 개설한 뒤 5년 동안 최대 월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.
- 계좌 유지: 납입이 없어도 계좌를 계속 유지할 수 있습니다.
- 정부 지원: 매월 납입한 금액에 대한 정부의 지원금은 다음 달에 적립됩니다. 다만, 만기일이 포함된 월에는 만기 때에 정부 지원금이 적립됩니다.
- 계좌의 금액은 만기 때나 특별한 중도해지 시에만 인출이 가능합니다.
많은 청년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, ‘청년도약계좌’는 청년들의 금융생활을 지원하고 안정적인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. 이런 기회를 놓치지 않고, 꼭 필요한 정보와 상담을 받아 볼 것을 추천드립니다.
상담이나 자세한 문의는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콜센터나 12개 취급 은행 콜센터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.
은행 콜센터
국민은행 1588-9999
· 신한은행 1577-8000
· 하나은행 1588-1111
· 우리은행 1588-5000
· 농협은행 1661-3000
· 기업은행 1588-2588
· SC제일은행 1588-1599
· 부산은행 1588-6200
· 대구은행 1566-5050
· 광주은행 1588-3388
· 전북은행 1588-4477
· 경남은행 1600-8585
[출처] 대한민국 정책브리핑(www.korea.kr)
청년도약계좌 8월 가입시기 및 청년도약계좌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와 다양한 금융 정보를 알고 싶다면 계속해서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세요. 함께 더 나은 금융 생활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!
[관련 링크 바로가기]